top of page

Create Your First Project

Start adding your projects to your portfolio. Click on "Manage Projects" to get started

<ANICCA (無常) >Collection, 2024

This work visually encapsulates an inner journey that began with the death of a dog who was with me for 17 years, aiming to express the truths of life found in Eastern philosophy and the comfort discovered therein. Experiencing my dog turning into a handful of ashes through death, there was a sensation of ‘trying to hold onto something that slips through the fingers and escapes’. It was akin to pouring water into a cracked jar. A jar that has lost its complete form can no longer hold anything, serving as a metaphor for the fleeting emotions of trying to grasp a loved one but ultimately being unable to hold onto them.

Deep reflection on the inevitability of death and separation ties back to the core principle of impermanence (Anicca (無常)) in Eastern philosophy, which signifies that all existence is not eternal and lies within a flow of change. The jar, broken in form, reminds that no matter how dearly one tries to cling to precious things, everything changes and flows according to the natural order of the universe. This reflects the law of the universe that everything in existence is subject to change.

Therefore, the work aims not only to interpret the death of a loved one as a moment of sorrow but also to explore the perspective that interprets all things as part of a continuous process and journey of change. Through this, there is a reconsideration of the way we experience death and understand how, even when a cherished being disappears from our lives, their presence still significantly impacts and holds meaning within our existence


이 작업은 17년을 함께한 나의 반려견의 죽음에서 시작된 내면
의 여정을 한국 전통의 달항아리와 주병, 매병의 형태를 현대적
으로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시각화한 것으로, 동양 철학에서 깨달은 삶의
진실과 그 안에서 찾은 위안을 표현하고자 한다.

죽음을 통해 나의 가족이 한 줌의 재로 변해가는 경험은, ‘손가
락 사이로 빠져나가는 무언가를 붙잡으려 애쓰는' 감각을 남겼다.
그것은 마치 금이 간 항아리에 물을 붓는 일과 같았다. 완전
한 형태를 잃은 항아리는 더 이상 아무것도 담을 수 없으며, 이
는 사랑하는 촌재를 붙잡으려 하지만 결국 붙잡을 수 없는 덧없
는 감정을 은유한다.

죽음과 이별의 불가피함에 대한 깊은 성찰은 ‘모든 존재는 영원
하지 않으며 변화의 흐름 속에 있다’는 동양 철학의 핵심 개념
인 무상(無常, ANICCA)과 연결된다. 형태가 깨진 항아리는,
아무리 소중한 것을 꼭 쥐려 해도 모든 것은 결국 우주의 질서
속에서 흐르고 변화한다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변화의 법칙 아래 놓여 있다는 우주의 이치를 반영하는 것
이다.

따라서, 이 작업은 사랑하는 존재의 죽음을 단순히 슬픔의 순간
으로 받아 들이기보다는, 모든 현상이 변화와 여정의 일부로 이
어지는 관점에서 다시 바라보고자 한다. 이는 우리가 죽음을 어
떻게 경험하고 이해하는지를 다시금 생각하며, 비록 소중한 촌
재가 우리의 삶에서 사라졌더라도, 그 존재는 여전히 우리 안에
깊은 흔적과 의미로 남아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WDH : 35x35x35 cm

  Copyright ⓒ by Liu_Kim _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