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u Kim
Create Your First Project
Start adding your projects to your portfolio. Click on "Manage Projects" to get started
<TIME OF ACCUMULATION>, 2025
Buncheong ware of early Joseon (1392–1897), though not perfectly refined in appearance, embodies the "traces of the hand" and a "sense of time" through spontaneous techniques such as brushing, scratching, and splashing. While Buncheong at the time was a transitional and utilitarian ceramic form preceding white porcelain, it paradoxically encapsulates the unique aesthetics of Korea through its very imperfections.
This work is a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a jar, incorporating the slip overlays, glaze flows, and asymmetrical compositions found in traditional Buncheong ware. The repeatedly layered and dripping slip and glaze on its surface, along with its wrinkled and swollen form, leave behind traces that resemble geological strata weathered over time. Within these accumulated layers, I aimed to capture more than just “form”—I sought to embody time itself.
Just as in the era when traditional Buncheong was created, our present day is likewise shaped by homogenized standards of beauty that continually refine and evaluate us. This jar breaks away from such obsessions with perfection and instead embraces flaws and imbalance, proposing that value is shaped through the traces left by time.
Through this work, I do not merely replicate tradition, but seek to rethink the formative spirit embedded within it—acceptance of imperfection and the freedom to transcend formal conventions—through a contemporary lens. Cracks, dents, asymmetry, and rough textures are not worthless flaws but rather formative languages that reveal new aesthetic possibilities. I now continue the spirit of Buncheong not through repetition, but through reinterpretation.
조선 전기(1392-1897)의 분청사기 (BUNCHEONG WARE)는 완벽하게 정제되지 않은 미감, 깃발림과 긁기, 뒤엎기 같은 자유로운 표현법을 통해 손의 흔적과 시간의 감각을 담아냈다. 당시의 분청은 백자에 이르기 전, 과도기적인 실용 도자였지만, 오히려 그 불완전함 속에 한국 고유의 미감을 집약하고 있다. 이 작품은 분청사기에서 나타나는 덧칠과 유약 흐름, 비대칭적 구성 요소를 오늘의 감각으로 재구성한 항아리다. 반복적으로 표면에 쌓이고 흘러내린 화장토와 유약, 주름지고 부풀어오른 형태는 마치 오랜 시간 풍화된 지층처럼 그 흔적을 남긴다. 나는 이 축적의 층위 속에, 단순히 형태' 이상의 시간을 담고자했다. 전통 분청이 만들어졌던 시대처럼, 오늘날의 우리 또한 균질화된 미의 기준 속에서 끊임없이 정제되고 평가된다. 이 항아리는 그러한 완벽함의 강박에서 벗어나, 오히려 결점과 불균형을 수용하고자 한다.
이 작업을 통해 전통을 단순히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담긴 조형적 정신―불완전함을 수용하고, 정형을 넘어서는 자유로움을 오늘의 감각으로 다시 사유하고자 했다. 균열과 흠, 비대칭성과 거친 질감은 무가치한 결점이 아니라, 오히려 새로운 미적 가능성을 드러내는 조형 언어다. 이제 나는 단순한 전통의 반복이 아닌 재해석을 통해, 분청의 정신을 이어 쓰고자 한다.
WDH: 40x40x40 c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