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Create Your First Project

Start adding your projects to your portfolio. Click on "Manage Projects" to get started

〈Palimpsest〉

In 1984, Korean ceramic relics salvaged from the waters off Wando,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carried traces of their long submersion beneath the sea. Once-perfect jars and vessels had their surfaces corroded and colors faded through the flow of waves, sand, and salt, yet within those transformed appearances, the inherent lines, textures, and gentle aesthetics of Korean ceramics still remained alive.

In those traces of time, I encountered another layer of beauty shaped by imperfection.
Rather than restoring their original perfection, I sought to reinterpret the time and changes contained within the relics as a new visual language. The cracks across the surface and the layered flow of materials form, like a palimpsest, a stratum of memories where the past and the present overlap.

<Palimpsest> is an homage to the aesthetic spirit of Korean ceramics that reemerges through traces left and overwritten, and an exploration of the “contemporary form of relics” reconfigured by time.

1983년 한국 완도 해역에서 인양된 한국의 도자 유물들은 오랜 세월 바다 속에 잠겨 있던 흔적을 품고 있었다. 한때 완전했던 항아리와 그릇들은 파도와 모래, 염분의 흐름 속에서 표면이 부식되고 색이 바랬지만, 그 변형된 모습 속에서도 한국 도자의 고유한 선과 질감, 그리고 유연한 미감은 여전히 살아 있었다.
나는 그러한 시간의 흔적 속에서, 불완전함이 만들어낸 또 다른 층의 미감을 마주했다. 
완벽했던 본래의 형태를 복원하기보다, 그 유물들이 품은 시간과 변화를 하나의 언어로 다시 풀어내고자 했다. 표면의 갈라짐과 겹겹이 쌓인 물질의 흐름은 마치 덧쓰인 고문서처럼, 과거와 현재가 겹쳐진 기억의 층을 이룬다.
<Palimpsest> 는 그렇게 덧쓰이고 남겨진 흔적들 속에서 다시 피어나는 한국 도자의 미의식에 대한 오마주이자, 시간에 의해 재구성된 ‘유물의 현재형’을 탐구하는 시도이다.

  Copyright ⓒ by Liu_Kim _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